데이터 모델링
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과정
-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이다.
- 현실 세계의 데이터(what)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과정이다.
-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/설계의 과정이다.
데이터 모델링의 3요소
- 개체(Entity)
- 속성(Attribute)
- 관계(Relationship)
데이터 모델링의 특징
- 추상화(Abstraction)
-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한다. 즉, 아이디어나 개념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과정이다.
- 단순화(Simplification)
- 복잡한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제한된 언어나 정해진 표기법으로 단순하고 쉽게 표현한다.
- 명확화(Clarity)
- 불분명함을 제거하고 누구나 이해가 가능하도록 명확하게 데이터 구조와 관계를 기술한다.
데이터 모델링의 유의사항
- 중복(Duplication)
- 같은 데이터가 여러 엔터티에 중복으로 저장되는 현상을 지양해야 한다.
- 비유연성(Inflexibility)
- 데이터 모델의 설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소한 변경에도 데이터 모델이 수시로 변경되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. 이런 상황은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므로 데이터 모델과 프로세스를 분리하여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.
- 비일관성(Inconsistency)
- 데이터의 중복이 없는 경우에도 비일관성이 발생할 수 있다. 개발자가 다른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부 데이터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. 이런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.
데이터 모델링 과정
-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(Conceptual Data Modeling)
-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 중심적이며 포괄적인 수준에서 모델링을 진행한다.
- 전사(회사 전체 차원의)적 데이터 모델링이나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(EA) 수립 시 많이 사용된다.
-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(Logical Data Modeling)
- 시스템으로 구축할 업무에 대해 주요 요소(Key), 속성(Attribute), 관계(Relationship) 등을 정확하게 표현한다.
- 재사용성이 가장 높은 모델링으로, 데이터 구조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데 중점을 둔다.
-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(Physical Data Modeling)
-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구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단계로 성능 최적화, 저장 효율성 등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.
ANSI/SPARC 아키텍처
- 1975년에 제안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의 추상적인 설계 표준이다.
- ANSI-SPARC 아키텍처에서는 스키마를 3단계 구조로 나누는데, 이렇게 분리하는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점과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방식을 분리하기 위함이다.
-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는 뷰를 제공하는 것이다.
- 하지만, 사용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데이터만 볼 수 있으면 되고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굳이 알 필요가 없다.
-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(DBA)의 입장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어야 독립성이 보장된다고 할 수 있다.
데이터베이스 3단계 스키마 구조
항목 | 내용 | 비고 |
외부 스키마 (External Schema) |
- Multiple User's View(여러 개의 사용자 관점) 단계로 구성, 즉 개개 사용자 단계로서 개개 사용자가 보는 개인적 DB 스키마 - DB의 개개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DB 정의 |
사용자 관점 접근하는 특성에 따른 스키마 구성 |
개념 스키마 (Conceptual Schema) |
-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조직 전체의 DB를 기술하는 것 - 모든 응용 시스템들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DB를 기술한 것으로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그들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스키마 |
통합 관점 |
내부 스키마 (Internal Schema) |
- DB가 물리적으로 저장된 형식 - 물리적 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적으로 저장되는 방법을 표현하는 스키마 |
물리적 저장구조 |
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
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해 개체(Entity)와 이들 간의 관계(Relationship)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
- 데이터 모델에 대한 표기법으로 1976년 피터첸(Peter Chen)이 Entity-Relationship Model(E-R Model)이라는 표기법을 만들었다.
ERD 표기 방식
IE/Crow's Foot 표기법
ERD 작성 순서
어떤 표기법을 사용하든 ERD를 작성하는 순서는 공통된 룰이며, 다음의 표기 순서를 따른다.
- 엔터티를 도출하고 그린다.
- 엔터티를 적절하게 배치한다.
- 엔터티 간의 관계를 설정한다.
- 관계명을 기술한다.
- 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.
- 관계의 필수/선택 여부를 기술한다.
ER 다이어그램 / ERD 기호 및 표기법
https://mjn5027.tistory.com/43
엔터티, 인스턴스, 속성, 속성값의 관계
엔터티 ⊃ 인스턴스 ⊃ 속성
-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.
- 한 개의 인스턴스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.
- 하나의 속성은 하나의 속성값을 갖는다.
엔터티(Entity)
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(Thing)
엔터티의 특징
-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.
- 쇼핑몰 시스템에 '학생'이라는 엔터티를 도출해 놓는다면 전혀 쓸모가 없을 것이다.
- 업무와 연관되어 있을 것 같은 엔터티라도 실제로 프로세스에 이용되지 않는다면 이것 역시 적절한 엔터티라고 볼 수 없다.
- 기본키(Primary Key)와 같은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.
- 회원 엔터티에 같은 아이디를 가진 사람이 여러 명이라면 로그인했을 때 이 사람이 누구인지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.
- 상품 엔터티의 경우 상품명이 동일한 상품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상품 코드를 발번하여 인스턴스를 식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-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.
- 일시적인 데이터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.
-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(레코드)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.
- 쇼핑몰에 '대표'라는 엔터티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, 현재 대표가 1명이고 앞으로도 쭉 1명일 예정이라면 이걸 굳이 엔터티로 만들 필요는 없을 것이다.
- 반드시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 한다.
- 속성이 없는 엔터티는 깡통 휴대폰과 같다.
- 반드시 자신을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- 다른 엔터티와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.
- 각각의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- 회원 엔터티는 주문 엔터티와 관계를 가지고 있고 주문 엔터티는 상품 엔터티와 관계를 가지고 있다.
발생 시점에 따른 엔터티 분류
- 기본 엔터티(Fundamental Entity) / 키 엔터티(Key Entity)
- 업무에서 본래 존재하는 독립적인 정보를 나타내며,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된다.
- 주식별자(Primary Key)를 상속받지 않고 고유한 주식별자를 가지며, 다른 엔터티의 부모 역할을 할 수 있다.
- ex. 사원, 부서, 고객, 상품, 자재 등
- 중심 엔터티(Main Entity)
- 기본 엔터티로부터 파생되며, 업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엔터티이다.
- 데이터의 양이 많이 발생되고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많은 행위 엔터티가 생성된다.
- ex. 계약, 사고, 예금 원장, 청구, 주문, 매출 등
- 행위 엔터티(Active Entity)
- 두 개 이상의 부모 엔터티로부터 파생되며, 주기적으로 내용이 변경되거나 데이터의 양이 증가한다.
- 분석 초기 단계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고, 상세 설계 단계나 프로세스와 상관 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도출되는 경우가 많다.
- ex. 주문 목록, 사원 변경 이력 등
엔터티의 이름을 정할 때 주의사항
- 업무에서 실제로 쓰이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.
- 한글은 약어를 사용하지 않고 영문은 대문자로 표기한다.
- 단수 명사로 표현하고 띄어쓰기는 하지 않는다.
- 다른 엔터티와 의미상으로 중복될 수 없다. (주문, 결제 엔터티는 중복될 수 있다.)
- 해당 엔터티가 갖고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.
속성(Attribute)
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,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
속성의 명칭 부여
- 해당 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부여한다.
- 서술식 속성명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약어 사용은 가급적 제한한다.
- 전체 데이터 모델에서 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.
- 반정규화, 통합 등의 작업에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.
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
- 기본 속성(Basic Attribute)
-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바로 정의한 속성으로, 본래 업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속성이다.
- ex. 원금, 예치 기간, 이자율
- 설계 속성(Designed Attribute)
- 업무상 존재하지는 않지만, 설계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새롭게 도출된 속성이다.
- ex. 예금 분류
- 파생 속성(Derived Attribute)
- 다른 속성의 값을 계산하거나 변형하여 생성된 속성이다.
- ex. 이자 (원금과 이자율로부터 계산)
구성 방식에 따른 분류
- PK(Primary Key)속성
- 엔터티의 인스턴스들을 식별할 수 있는 속성
- FK(Foreign Key)속성
- 다른 엔터티의 속성에서 가져온 속성
- 일반속성
- PK, FK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
도메인 / 용어사전 / 시스템 카탈로그
- 도메인(Domain)
- 속성이 가질 수 있는 속성값의 범위이다.
- ex. 우편번호는 다섯 자리의 숫자라는 범위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엔터티를 정의할 때 데이터 타입과 크기로 나타낼 수 있다.
- 용어사전
- 어떤 시스템이든 속성명은 업무와 직결되는 항목이다.
- 그래서 속성의 이름을 정확하면서도 직관적으로 부여하고(속성명을 보고 어떤 데이터가 저장된 컬럼이라는 걸 직감할 수 있도록) 용어의 혼란을 없애기 위해 용어사전이라는 업무사전을 프로젝트에서 사용한다.
- 시스템 카탈로그
- 사용자 테이블과는 별개로 시스템 자체에 관련이 있는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.
- 시스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어 SQL을 이용하여 조회할 수 있다.
-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라고 하며 SELECT만 가능하고 INSERT, UPDATE, DELETE는 불가능하다.
관계(Relationship)
두 개 이상의 엔터티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개념
관계의 분류
- 관계는 존재에 의한 관계와 행위에 의한 관계로 구분될 수 있다.
- 존재에 의한 관계는 객체 간의 상호 존재를 나타낸다. (ex. 직원과 부서, 학생과 학과)
- 행위에 의한 관계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나 행동을 나타낸다. (ex. 회원과 주문, 학생과 출석부)
- UML(Unified Modeling Language)에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관계 중 연관 관계(Association)와 의존 관계(Dependency)가 있다.
- 연관 관계는 클래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며, 실선으로 표현된다.
- 의존 관계는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에 의존하는 일시적인 관계를 의미하며, 점선으로 표현된다.
- ERD(Entity-Relationship Diagram)에서는 존재적 관계와 행위적 관계를 구분하지 않고, 단일화된 표기법을 사용하여 관계를 표현한다.
- 이 표기법은 엔터티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며, 다양한 관계 유형을 하나의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.
관계의 표기법
- 관계명(Membership) : 관계의 이름
- 관계차수(Cardinality) : 관계에 참여하는 수(1:1, 1:M, M:N)
- 관계선택사양(Optionality) : 필수 관계, 선택 관계
관계 체크사항
-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관심있는 연관규칙이 존재하는가?
- 두 개의 엔터티 사이에 정보의 조합이 발생되는가?
-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연결에 대한 규칙이 서술되어 있는가?
- 업무기술서, 장표에 관계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사(Verb)가 있는가?
관계 읽기
- 기준(Source) 엔터티를 한 개(One) 또는 각(Each)으로 읽는다.
- 대상(Target) 엔터티의 관계 참여도 즉, 개수(하나, 하나 이상)를 읽는다.
- 관계선택사양과 관계명을 읽는다.
식별자(Identifier)
엔터티 내에서 각 인스턴스를 고유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(또는 속성의 집합)으로,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중복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.
식별자의 종류
주식별자(Primary Identifier) || 보조식별자(Alternate Identifier)
엔터티 내에서 대표성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.
주식별자는 기본 키 역할을 하고, 보조식별자는 대체 키 역할을 할 수 있다.
내부식별자 || 외부식별자(Foregin Identifier)
식별자가 엔터티 내에서 스스로 생성되었는지, 아니면 다른 엔터티에서 가져온 것인지에 따라 구분된다.
외부식별자는 다른 엔터티의 기본 키를 참조하는 외래 키로 사용된다.
단일식별자(Single Identifier) || 복합식별자(Composite Identifier)
단일 속성으로 식별 가능한지, 아니면 여러 속성의 조합으로 식별해야 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.
본질식별자(Original Identifier) || 인조식별자(Surrogate Identifier)
본래 업무적으로 의미가 있는 식별자 속성(ex. 주민등록번호)을 사용하거나, 이를 대체해 새로 만든 인조식별자(ex. 일련번호)인지에 따라 구분된다.
주식별자의 특징
- 유일성 :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의 모든 인스턴스들이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.
- 최소성 :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개수가 되어야 한다.
- 불변성 : 지정된 주식별자의 값은 자주 변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.
- 존재성 : 주식별자가 지정이 되면 반드시 값이 들어와야 한다. (Null 안 됨)
주식별자 도출 기준
- 해당 업무에서 자주 이용되는 속성을 주식별자로 지정한다.
- 명칭, 내역 등과 같이 이름으로 기술되는 것들은 가능하면 주식별자로 지정하지 않는다.
- 이름이나 설명과 같은 속성은 유일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.
- 주식별자를 복합으로 구성할 경우, 너무 많은 속성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.
식별자와 비식별자 관계 비교
항목 | 식별자 관계(Identification Relationship) | 비식별자 관계(Non-Identification Relationship) |
목적 | 강한 연결관계 표현 | 약한 연결관계 표현 |
자식 주식별자 영향 | 자식 주식별자의 구성에 포함 | 자식 일반 속성에 포함 |
표기법 | 실선 표현 | 점선 표현 |
연결 고려사항 | - 반드시 부모 엔터티에 종속 - 자식 주식별자 구성에 부모 주식별자 포함 필요 - 상속받은 주식별자 속성을 타 엔터티에 이전 필요 |
- 약한 종속 관계 - 자식 주식별자 구성을 독립적으로 구성 - 자식 주식별자 구성에 부모 주식별자 부분 필요 - 상속받은 주식별자 속성을 타 엔터티에 차단 필요 - 부모 쪽의 관계 참여가 선택관계 |
'certification > SQL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D] SQL 기본 및 활용 (6) | 2024.11.12 |
---|---|
[SQLD] 데이터 모델과 SQL (2) | 2024.11.11 |